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이 있는 한국 제일의 포교전법도량이다. 1911년 한용운과 이회광이 중동중학교 자리에 각황사(覺皇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1915년 포교와 교육사업을 위해 31본산 연합사무소를 설치했으며, 1929년 승려대회를 열어 조선불교 선교양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중앙교무원을 설립했다. 1937년 조선불교총본산을 설립하기로 결의하고, 17만 원의 경비를 들여 1938년 각황사를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다. 이때 삼각산에 있던 태고사(太古寺)를 이곳으로 옮겨오는 형식을 취해 절이름을 태고사로 바꾸었다. 1955년 이 절을 중심으로 불교정화운동이 전개되면서 다시 절이름을 조계사로 고쳤는데, 현재 대부분의 절은 조계종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한 현대식 건물인 불교회관과 불교정화기념관 등이 있다. 대웅전 앞뜰에 있는 사리탑은 1930년 스리랑카의 달마파라(達摩婆羅)가 가져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1과를 봉안한 것이다. 그밖에 상원사(上院寺)에서 가져온 동종 등이 있다.
회화나무
대웅전앞에 450년이 넘고 높이가 26m 둘레가 4m에 이르는 회화나무
현재 서울시 지정보호수
회화나무는 가장 늦게 잎이 돋아 가장 늦게 잎이 지는 것으로 군자의 성품을 닮았다고 해서
군자목 이라고도 한다
범종루는 법고,운판,목어,범종 등의 사물이 있는곳
법고는 땅에사는 중생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기 위한것
운판은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을 제도하고 허공을 헤매며 떠도는 영혼을 천도하기 위한것
목어는 물속에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것
범종은 욕계의 6천과 색계의 18천과 무색계의 4천을 제도 하기위해 울린다.
새벽 예불때 28번 저녁 예불때 33번을 치는데 이는 새벽의28개의 지옥문을 열어 사시에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저녁에 33개의 천상의 문을 열어 모두 극락으로 인도하는 의미에서 조석으로 울리고있다.
일주문은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일심(一心)을 뜻하며
일주문에는 사찰의 현판을 걸어놓으며 여기서부터가 사찰의 시작임을 알린다
'▶山寺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정암 가는길... (0) | 2008.09.10 |
---|---|
자재암 가는길... (0) | 2008.09.05 |
등명락가사 (0) | 2008.08.12 |
월정사 (0) | 2008.08.11 |
봉선사 초하루 법회.. (0) | 2008.08.02 |